교과서 중심 학습만으로 좋은 성과를 내는 방법
우리 아이가 어떤 방법으로 학습을 하든 중요한 본질적인 질문은 따로 있습니다.

우리 아이의 공부는 학습 성과를 내고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학습 성과를 내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학과 습의 균형을 맞추는 것입니다. 공부를 하는 과정을 흔히 "학습"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별 뜻 없이 편하게 얘기하는 학습이란 단어를 쪼개보면 공부의 가장 중요한 원칙이 숨어 있습니다.

"학"은 배우는 것입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지식이나 기술을 외부로부터 내 안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지요.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학"을 하는 것이 수업이고, 선생님의 도움 없이 책이나 기타 자료 등을 이용해서 "학"을 하는 것은 독학이 됩니다. 학습능력이 형성되지 않은 대부분의 학생들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학"을 합니다.

"학"을 통해 지식을 받아들였다 하더라도 이 지식은 아직 자신의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것이 된다는 것은 기억으로 만들어지고, 필요할 때 그 기억을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 "습"이 필요합니다. 가장 확실한 습의 방법은 복습입니다. 수업을 통해 "학"을 한 지식은 복습을 통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학"한 만큼 "습"을 해서 "학"과 "습"의 균형이 맞아야만 성과가 나게 됩니다. "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무리 "학"을 해봐야 소용이 없지요.

그렇다면, 아이가 현재 "학"하고 있는 내용들이 제대로 "습"이 이루어지고 있나요?

현재 아이는 학교 수업 시간에 "학"을 하고, 학습지에서 선행하는 내용들도 "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들 모두가 제대로 "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요? 만약 그렇다면 학습지로 공부를 하면서 미리 개념을 습득해놓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현재 "학"하고 있는 개념들을 제대로 "습"을 하지 못하고 있다면 "습"의 시간을 늘려서 균형을 맞춰줘야 합니다. 그런데 "습"시간이 부족하다면 학교 수업에서 "학"한 내용을 "습"할 것인지, 학습지에서 "학"한 내용을 "습"할 것인지 선택을 해야겠지요.

많은 어머니들이 학교 수업 위주, 교과서 중심 학습만으로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의구심을 갖습니다.

전국 수석 학생들의 인터뷰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학교 수업 열심히 듣고,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다 소리는 먼 나라의 이야기로만 느껴집니다. 그러나 그 학생들이 하는 이야기의 본질은 학교 수업과 교과서에 담겨 있는 개념을 완벽하게 "학"하고 "습"을 했다는 얘기입니다.

현행 교과 과정의 범위 내에서 학습 성과를 내고, 그 성과들을 바탕으로 진학 목표와 진로를 설계하고 있다면, 최우선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학교 수업과 교과서의 개념을 제대로 학습하도록 해주세요.

학교 수업을 완벽하게 소화한다면, 학습지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선행을 해도 괜찮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교과서 중심의 복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주시고, 학습지나 문제집, 참고서 등의 교재, 학원이나 과외 등의 사교육의 도움을 받더라도 학교 수업에서 다뤄진 교과 내용을 우선 제대로 습을 하는 것에 포커스를 맞춰주세요.

아이가 대학 진학 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학"한 만큼 "습"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공부 성과를 낼 수 있다면, 전혀 부족함 없이 지식을 갖춰나가는 훌륭한 자기주도학습자가 될 것입니다. 그 과정을 아이가 흔들림 없이 잘 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최고의 학습 코치가 되시길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인재채용 Contact Us
주식회사 애드엔소프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일로 10길 27, A동 618(구로동, SK허브수)

Tel. 02-877-7232   Fax. 0504-417-7232   E-mail. creiedu@crei.or.kr   

대표이사 : 강만규   정보관리책임자 : 강만규   사업자번호 : 233-81-12430   통신판매업신고 : 제2019-서울구로-0656호

Copyright ⓒ 애드엔소프트 All rights reserved.
진로상담
분야1위
벤처기업
인증